[수소 기술] 2002년 처음 사용된 ‘수소’경제, 미래 에너지원 될까
  • 2018-10-10
  • 신윤오 기자, yoshin@elec4.co.kr

차세대 자동차 경쟁에서 수소 전기차 주목

최근 들어 수소 전기차, 수소 충전소 등 수소 관련 다양한 뉴스가 보도되면서 수소 경제 시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소 전기차는 전동화 기반 차량 중 가장 진화된 형태로서 향후 잠재력이 가장 큰 미래 친환경 기술 분야로 최근 현대차 그룹이 폴크스바겐 그룹과 수소 전기차 관련 기술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하면서 수소경제 도래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현대차그룹과 폴크스바겐 그룹의 제휴는 향후 수소경제 시대에 대비한 글로벌 자동차업계간 주도권 경쟁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수소경제 실현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는 일본으로 최근 수소 2030 로드맵을 발표하며 매우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수소경제 정책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10% 이하로 하락한 자국의 에너지 자급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서 비롯했다. 일본은 2020년까지 우선적으로 수요 확대를 위해 수소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고 이를 지탱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수소의 공급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일본 외에도 중국, 유럽 및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고 있으며 그 중심은 수소 전기차 보급을 통한 수소 수요 확대에 있다.



중국도 2017년 수소 전기차 로드맵을 확정하여 2030년 수소차 100만 대 시대를 공식화하고 있으며 독일은 2006년부터 수소경제 실현을 위판 R&D를 강화하였다. 우리나라도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2020년까지 2조 6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수소경제 실현 여부는 현재 가장 적극적인 정책을 구사하고 있는 일본의 투자가 가시화되는 10~15년 후에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종민 수석연구원(철강연구센터)은 “글로벌 자동차업계 내 수소 전기차 개발 경쟁이 심화될 것이며 수소경제 관련해서는 수소저장, 운송 및 인프라 구축사업의 성장이 전망된다”며,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기업-정부-연구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뒷받침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고 말했다.

수소경제 실현 여부는 현재 가장 적극적인 정책을 구사하고 있는 일본의 성장 궤적을 토대로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축적된 기술 수준으로 볼 때 일본의 수소경제 실현 여부는 수소 공급가격이 경쟁력을 확보하는 10~15년 이후 현실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수소저장, 운송 및 충전에 대한 국내 기술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하여 이 부분에 대한 R&D 및 투자가 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규격과 인증제도 등 제도적 뒷받침

각국 정부는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수단으로 수소 수요 확대를 위해 강력한 수소 전기차 보급 정책을 구사하고 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 다시 수소 전기차로 이어지는 차세대 자동차 경쟁을 주시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수소 공급측면에서 수소생산, 운송, 저장 및 연료전지 분야 등에서 기존의 소재 대비 고압, 저원가 및 고내구성 소재에 대한 시장 요구가 확대될 전망이다.

이종민 수석은 보고서에서 “수소경제 실현을 위해 기업-정부-연구기관 간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되며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가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며, “수소충전, 발전 등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 성장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산학연 협력 및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국내 수소경제 관련 산업이 자생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일정기간 규제 개선을 비롯한 규격과 인증제도 등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본 기사의 전문은 PDF문서로 제공합니다. (로그인필요)
다운로드한 PDF문서를 웹사이트, 카페, 블로그등을 통해 재배포하는 것을 금합니다. (비상업적 용도 포함)
 PDF 원문보기

#자동차   #전력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